Advertisement banner image
Advertisement banner image
Image at ../data/upload/6/2834866Image at ../data/upload/7/2834417Image at ../data/upload/3/2834403Image at ../data/upload/8/2834398Image at ../data/upload/0/2834210Image at ../data/upload/2/2834182Image at ../data/upload/6/2834146Image at ../data/upload/5/2834075Image at ../data/upload/9/2833959
Sub Page View
Today Page View: 806,109
Yesterday View: 1,079,964
30 Days View: 19,186,821

필리핀 직원의 잦은 무단결근 대처법 조언부탁드려요.....(20)

Views : 8,501 2016-03-05 11:25
1271346696
Report List New Post

안녕 하세요.

 

저는 조그만 회사 사무직원2. 현장기술직 직원 4명 를 고용 하고 잇읍니다.

주 6일 근무 이고... 

월급을 근무 일수로 계산해서  주급으로 지불하고잇읍니다.

결근시 일당은 공제 합니다.

 

문제는 주 1 회 정기적??? 으로 무단결근 하는 친구들이 잇네요.

경고를 해도 전혀 개선이 안됩니다.

 

좋은 아이디어나 경험하신 고수 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즐거운 하루되세요.

 

 

질의 중... 30초 정도 걸려요 ...
  본 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Report List New Post
바쁘게사는사람 [쪽지 보내기] 2016-03-05 11:33 No. 1271346713
34 포인트 획득. 축하!
잦은결근을해도 나에게 필요한 직원이라면 고민이 되겠지요 그게 아니라면 정리하시는게 좋치요.

내가 나서기싫고 잔소리 안하면 반복됩니다. 레터나 경고장 받아둬도 나중에 시비걸면 그또한 머리복잡하구요 가까이 필리핀친구가 있으시면 도움을 받으시는것도 좋습니다.
예로 경찰친구가 한마디하면 말 잘듣습니다.
구단 [쪽지 보내기] 2016-03-05 11:53 No. 1271346762
31 포인트 획득. 축하!
무단 결근을 해도 별 문제가 없을 정도로 시스템을 갖추셔야 합니다
carolh [쪽지 보내기] 2016-03-05 12:03 No. 1271346786
32 포인트 획득. 축하!
필 사람은  근본적 마인드가
한국인과  달 라서   ...배가고파도 아쉬운게 없는사사람들..
그런것이   사업하실때  에로사항 인것 같습니다
 
 
선풍기아저씨 [쪽지 보내기] 2016-03-05 12:05 No. 1271346793
37 포인트 획득. 축하!
규정에 맞게 해고 처리하는것이 제일 좋습니다
아니면 패널티를 적용하면 됩니다
블랙커 [쪽지 보내기] 2016-03-05 12:09 No. 1271346803
35 포인트 획득. 축하!
무단결근은 님 뿐만 아닌 다른 오너들도 스트레스많이 받아요 한두명 빠져도 돌아 갈수 있게 시스템을 많들어야해요 야들 무단결근 오너 눈치 안봐요 
띠목놀부 [쪽지 보내기] 2016-03-05 12:26 No. 1271346855
33 포인트 획득. 축하!
조언감사 드립니다....
결근자 대체 할수 잇는 시스템 만들어야 겟다는 생각중 입니다.
인원이 느는 만큼 일거리를 만들어야 겟지요?
쉽지 않은 인력관리.. 이 또한 해결해야 미래가 잇겟지요......
조언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아라차사우디 [쪽지 보내기] 2016-03-05 13:17 No. 1271347002
49 포인트 획득. 축하!
@ 띠목놀부 님에게... 일거리를 늘리는게 아니고 대체인력을 만들어두시면 됩니다. 부사수의 개념이나 그 결근하는 친구의 일을 할수있는 사람을 한명 더구해두시고 일급으로 지급을 하되 프리랜서나 계약직의 개념으로 고용을 하시고 그친구가 결근을 하면 그 사수의 근무시간을 5일로 줄여버리고 대체인력을 하루 고정근무시키고 경고나 레터를 받아도 또 결근시 4일로 줄여버리고 대체인력을 2일로 고정근무를 시켜버리시면 자주결근하는 사수놈도 위기의식을 느껴서 더이상 무단결근 못할겁니다 해고당하고 그 부사수의 대체인력이 대신근무할수있으니까요
금둥 [쪽지 보내기] 2016-03-05 14:26 No. 1271347182
48 포인트 획득. 축하!
무단결근 할 때마다 시말서,written apology 를 쓰게하고 싸인하게 한 다음 3회 이상 결근하면 나오지 말라고 하세요. 따지면 시말서 들이밀면 지들도 뭐라하지는 못하더군요. 
사람 끼리끼리 논다고 특수한 기술 아니면 열심히 일하는 직원한테 사람 좀 소개 좀 해달라고 하세요..
 
그대로그렇게 [쪽지 보내기] 2016-03-05 14:32 No. 1271347198
42 포인트 획득. 축하!
경고를 줘도 그러면 한일주일 서스펜스를 주세요.니가 바쁘고 몸도 안좋으니 일주일 쉬라하세요.
케이빔 [쪽지 보내기] 2016-03-05 14:36 No. 1271347208
49 포인트 획득. 축하!
국민성인지... 이와 같은 문제로 다들 고생들 하네요..
sqcjrkex [쪽지 보내기] 2016-03-05 14:37 No. 1271347212
39 포인트 획득. 축하!
참 쉽지 않은 일 같네요.
문화와 정서의 차이가 있으니...
잘 해결되시기 바랍니다.
pak2140 [쪽지 보내기] 2016-03-05 15:42 No. 1271347457
31 포인트 획득. 축하!
경고 후 개선이 안 되면 짤라야 합니다. 원래 그런애들입니다. 다른 성실한 애들을 구하시는게 빠릅니다.
바쁘게사는사람 [쪽지 보내기] 2016-03-05 15:48 No. 1271347472
33 포인트 획득. 축하!
@ pak2140 님에게...실력있고 내게 필요한 직원일경우는 고민많이되는데 저도 같은직원 한명있네요.
티아라000 [쪽지 보내기] 2016-03-05 16:07 No. 1271347538
44 포인트 획득. 축하!
대체 인력이 정답인듯 합니다
 
그린망고여행사 [쪽지 보내기] 2016-03-06 15:07 No. 1271351101
13 포인트 획득. 축하!
직원의 근무 태만은 회사 내규에 규정 되어 있거나 3회 이상의 경고와 자필 시인서를 확보 해두시면
해고의 근거가 됩니다.다만 이나라 노동법상 5년 미만의 근무자를 해고 할 시에는 고용주가 퇴직금을 지불
해야하는 의무 규정이 있습니다.차후에 노동청(DOLE)을 통한 불미 스런 고소 고발을 미연에 방지 하기위
해 스스로 사퇴 한다는 자필 서명서를 받아 두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자진 사퇴의 경우는 퇴직금을 줄 의무가 없기 때문입니다.
화상영어 [쪽지 보내기] 2016-03-06 23:43 No. 1271352554
13 포인트 획득. 축하!
개선 절대 안됩니다. 짜르고 새로 뽑으세요
뿌꾸 [쪽지 보내기] 2016-03-07 10:35 No. 1271354105
13 포인트 획득. 축하!
첫번째 무단결근 : 서류로 서면경고
2번째 무단결근 : 회사 규정에 따른 3일 ~ 6일 무급 근신 조치
3번째 무단결근 : 2번째의 근신 x 2배 적용 (최고 15일)
4번째 무단결근 : 해고
 
근신 줄때 너 아니라도 일 할 사람 많다, 너 없어도 회사 문제없이 돌아간다는 것을 보여주면
그만두거나 결근 안하거나 두가지 중 하나입니다.
쏴쏴쏴 [쪽지 보내기] 2016-03-07 21:17 No. 1271356566
13 포인트 획득. 축하!
직원들이 기술자라고 하면 레트고 경고고 뭐 잘 안 먹힐꺼 같습니다.
짧은 머리에 내가 없으면 회사 안 돌아가지 그런 생각에 나 못 짜른다는 생각이 깔려 있을듯 싶네요.
페널티 시스템을 만들어 보심이 어떨까요. 그리고 결석시 페널티로 봉급에서 까는거죠. 회사 레귤레이션을 만드셔서 결석시 페널티 얼마를 낸다 동의서를 싸인을 먼저 받고 시행을 하세요.
100프로는 아니더라도 조금 줄어 듭니다. 그러면...
세부긴 [쪽지 보내기] 2016-03-08 14:43 No. 1271359753
7 포인트 획득. ... 힘내세요!
좋은 정보 감사 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토리덴 [쪽지 보내기] 2025-08-18 19:10 No. 1275659860
결근하는 날짜만큼 월급에서 차감하세요
필리핀 코로나19 상황
신규 확진자
+502
신규 사망자
새 정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No. 99274
Page 1986